Home ChungLab Wiki
    • 설명
    • 못 고치는 문서
    • Menu
      • Navigation
      • RecentChanges
      • FindPage
      • 사이트맵
      • Help
      • HelpContents
      • HelpOnMoinWikiSyntax
      • 보기
      • 첨부
      • 정보
      • 원문 보기
      • 인쇄용 화면
      • 수정
      • 로드
      • 저장
    • 로그인

    Navigation

    • FindPage
    • HelpContents
    • FunReading
    이 위키는 메일 처리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. 위키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메일을 쓸 수 있도록 요청하세요.
    • Class
    • Physiology
    • Heart

    심장

    차례

    1. 심장의 구조
    2. 심장근의 전기적 특성
      1. 동방결절(sinoatrial node: SA node)의 활동전압
      2. 심장근의 활동전압
      3. 심전도
      4. 부정맥
    3. 심장의 기계적 특성
      1. 심장기능 조절

    심장의 구조

    심장의 기능적 구조 (YouTube 강의 from Khan Academy)

    • 좌심방(atrium) ➔ 좌심실(ventricle) ➔ (체순환) ➔ 우심방 ➔ 우심실 ➔ (폐순환) ➔ 좌심방 ...
      • 방실판막 좌: 이첨판(bicuspid valve) or 승모판(Mitral valve)

      • 방실판막 우: 삼첨판(tricuspid valve)
      • 반월판(semilunar valve): 대동맥판(Aortic valve), 폐동맥판(pulmonary valve)

    • 방실환(Atrioventricular ring):
      • 심방/심실 사이 절연
      • 심방근/심실근 부착
    • 심내막(endocardium) + 심장근(myocardium) + 심외막(epicardium) + 심장막(pericardium)

    Heart Anatomy

    심장근과 골격근의

    • 유사점
      • 횡문근(Striated muscle): Sarcolemma, T-tubule

    • 다른점
      • 개재원반(Intercalated disc): Gap junction, Syncytium

        • Intercalated discs

      • 긴 활동전압 지속시간 (200~500ms vs. 1ms): 따라서 불응기도 길다

    심장근의 전기적 특성

    동방결절(sinoatrial node: SA node)의 활동전압

    • SA Node

    • HCN channel의 역할: 자발적 탈분극(pacemaker depolarization, diastolic depolarization) 可能

    • Na+ 대신 Ca2+ 이온이 탈분극 주도 ➔ 느린 탈분극 속도

    • 방실결절(atrioventricular node: AV node)도 비슷함

    심장근의 활동전압

    • Heart Muscle

    • Phase 0: Na+ 이온이 탈분극 주도 ➔ 빠른 탈분극 속도

    • Phase 1: Na+ 채널 inactivation + K+ 채널 열림 = 약간 재분극

    • Phase 2: Ca2+ 채널이 재분극 억제 ➔ 고원기(plateau) 형성 ➔ 근육수축 지속 가능

    • Phase 3: K+ 채널에 의한 재분극

    • Phase 4: Na+, K+, Ca2+ 원위치 및 SA node 탈분극 기다림 (자발적 탈분극 不可 ⬅︎ HCN channel 無)

    심전도

    심장의 활동전압 전도 순서: SA node ➔ 심방근 ➔ AV node(delay) ➔ His bundle ➔ Purkinje fiber ➔ 심실근

    • His bundle

    심전도(Electrocardiography): 사지 and/or 가슴에 설치한 전극으로 심장의 활동전압을 기록하는 방법

    • 표준 12유도 심전도 = 표준사지유도(3) + 단극사지유도(3) + 심장앞유도(6)

      • 10개의 전극 필요 = LA + RA + LF + Ground + V1~V6

        6 leads

    • 표준사지유도(I,II,III): Einthoven's triangle = 좌팔(L) + 우팔(R) + 좌발(F) 전극 (노태호교수 강의)

    • 단극사지유도(Augmented limb leads: aVR, aVL, aVF): 표준사지유도 측정값을 가상의 음극(Goldberger's central terminal)을 기준으로 재계산 (노태호교수 강의)

    • 심장앞유도(Precordial leads: V1~V6): 가슴에 설치한 6개의 전극 이용, 가상의 음극 기준 수평 평면에서 본 활동전압 기록 (노태호교수 강의)

    심전도 해석 (노태호교수 강의):

    • 파형의 방향, 상대적 크기: 심장의 활동전압 이상, 심장 전기축 이상, 심실비대 등
    • 구간 duration
      • P: Atrial Depolarization
      • P-R: AV delay
      • QRS: Ventricular Depolarization
      • T: Ventricular Repolarization

      ECG

      ECG

    부정맥

    서맥(Bradycardia) 발생기전 (노태호교수 강의):

    • SA Node에서 A.P.를 잘 못 만듬
    • SA Node에서 주변으로 A.P. 전도 잘 안 됨 (S.A. block)
    • AV Node에서 주변으로 A.P. 전도 잘 안 됨

    빈맥(Tachycardia) 발생기전 (노태호교수 강의):

    • Abnormal automaticity: 심방근/심실근/AV junction 등 에서 자발적 A.P. 발생
    • Triggered activity: 심방근/심실근 A.P. 재분극 후에 afterdepolarization 발생
    • Reentry: 발생된 A.P.가 소멸하지 않고 계속 맴돌때 (심근경색 후 scar 등이 원인)

    심장의 기계적 특성

    심장근 수축: Ca2+ 이온이 가장 중요 (심장근 탈분극에는 Na+ 이온이 중요)

    1. 탈분극 후 plateau phase에서 Ca2+ 이온 유입 지속 (T-tubule)

    2. 그 결과, Sarcoplasmic Reticulum에서 다량의 Ca2+ 유리 (Calcium-induced calcium release)

    3. Ca2+ + Troponin C = 근육 수축

    4. T-tubule + Syncytium ➔ 빠르고 동시적인 수축

    심장주기(Cardiac cycle)

    1. 등용적성 수축: 대동맥판(Aortic valve)/승모판(Mitral valve) 모두 닫힌 상태로 심실근 수축 ➔ 심실압 급격히 증가

    2. 심실박출기:
      • 대동맥판을 열 정도의 심실압이 되면 대동맥판 열리고 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 이동.
      • 심실근 수축이 최고점일 때 심실의 용량을 수축기말 용적(end-systolic volume)이라 함
      • 심실근 수축력이 감소하면서 심실압 < 대동맥압 이 되면 대동맥판 닫히고 (제2심음), 심실 용량은 일정 수준 유지

    3. 등용적성 이완: 대동맥판/승모판 모두 닫힌 상태에서 심실근 이완 ➔ 심실압 급격히 감소
    4. 심실충만기:
      • 심방압 > 심실압이 되면 승모판 열리고 심방에서 심실로 혈액 이동.

      • 최대 용적일 때를 확장기말 용적(end diastolic volume)이라 함
    5. 등용적성 수축: 심실근 수축이 시작하고 심방압 < 심실압이 되면 승모판 닫히고 (제1심음), 심실압 증가 ➔ 다시 2번으로

      • 심장주기

    심장기능 조절

    내인성 심근 수축력 조절기전: (P-V Loop 참고)

    • Preload 증가(정맥환류량 증가) ➔ 수축력 증가 (Frank–Starling law)

    • Afterload 증가(대동맥압 증가) ➔ 수축력 증가(대동맥압 보다 높은 압력을 주어야 stroke volume 유지 가능)

      http://www.cvphysiology.com/Cardiac%20Function/CF024

    외인성 심근 수축력 조절기전:

    • 증가: 교감신경, 아드레날린, 갑상선 호르몬, 세포외액 칼슘농도 증가, 약물
    • 감소: 부교감신경, 세포외액 칼슘 농도 감소

    신경지배 ⬅︎ 자율신경계

    • 교감신경: 심방 + 심실 전체 ➔ 심박출량 증가
      • 방실 간 흥분전도속도 증가 ➔ 심박수 증가
      • 심근 수축력 증가
    • 부교감신경(미주신경): 결절 조직 ➔ 기능은 교감신경의 반대

    /AP   /APLab   /Blood   /Circulation   /CirculationLab   /CompoundAP   /GSRLab   /Heart   /MembraneTransport   /MuscleLab   /Pain   /PainMxFacial   /Respiration   /Stress  
    Copyright © ChungLab. Built on MoinMoin and Bootstrap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