심장

심장의 구조

심장의 기능적 구조 (YouTube 강의 from Khan Academy)

Heart Anatomy

심장근과 골격근의

심장근의 전기적 특성

동방결절(sinoatrial node: SA node)의 활동전압

심장근의 활동전압

심전도

심장의 활동전압 전도 순서: SA node ➔ 심방근 ➔ AV node(delay) ➔ His bundle ➔ Purkinje fiber ➔ 심실근

심전도(Electrocardiography): 사지 and/or 가슴에 설치한 전극으로 심장의 활동전압을 기록하는 방법

심전도 해석 (노태호교수 강의):

부정맥

서맥(Bradycardia) 발생기전 (노태호교수 강의):

빈맥(Tachycardia) 발생기전 (노태호교수 강의):

심장의 기계적 특성

심장근 수축: Ca2+ 이온이 가장 중요 (심장근 탈분극에는 Na+ 이온이 중요)

  1. 탈분극 후 plateau phase에서 Ca2+ 이온 유입 지속 (T-tubule)

  2. 그 결과, Sarcoplasmic Reticulum에서 다량의 Ca2+ 유리 (Calcium-induced calcium release)

  3. Ca2+ + Troponin C = 근육 수축

  4. T-tubule + Syncytium ➔ 빠르고 동시적인 수축

심장주기(Cardiac cycle)

  1. 등용적성 수축: 대동맥판(Aortic valve)/승모판(Mitral valve) 모두 닫힌 상태로 심실근 수축 ➔ 심실압 급격히 증가

  2. 심실박출기:
    • 대동맥판을 열 정도의 심실압이 되면 대동맥판 열리고 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 이동.
    • 심실근 수축이 최고점일 때 심실의 용량을 수축기말 용적(end-systolic volume)이라 함
    • 심실근 수축력이 감소하면서 심실압 < 대동맥압 이 되면 대동맥판 닫히고 (제2심음), 심실 용량은 일정 수준 유지

  3. 등용적성 이완: 대동맥판/승모판 모두 닫힌 상태에서 심실근 이완 ➔ 심실압 급격히 감소
  4. 심실충만기:
    • 심방압 > 심실압이 되면 승모판 열리고 심방에서 심실로 혈액 이동.

    • 최대 용적일 때를 확장기말 용적(end diastolic volume)이라 함
  5. 등용적성 수축: 심실근 수축이 시작하고 심방압 < 심실압이 되면 승모판 닫히고 (제1심음), 심실압 증가 ➔ 다시 2번으로

    • 심장주기

심장기능 조절

내인성 심근 수축력 조절기전: (P-V Loop 참고)

외인성 심근 수축력 조절기전:

신경지배 ⬅︎ 자율신경계

Class/Physiology/Heart (2018-09-11 21:14:01에 gehoon가(이) 마지막으로 수정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