호흡 생리

호흡기

폐구조

Pleura

폐 - 폐쪽흉막(visceral pleura) - 흉막공간(pleural cavity) - 벽쪽흉막(parietal pleura) - 흉벽(Chest wall)

폐포(alveolus), 호흡막(respiratory membrane)

Respiratory Membrane

Respiratory Membrane

기도

총 23회의 분지

기도저항

유체기초
  1. Flow = ∆Pressure / Resistance
    • http://www.schoolphysics.co.uk/age16-19/Properties of matter/Viscosity/text/Flow_of_liquid_through_a_tube/images/1.png

  2. 유체의 흐름저항 (Khan Academy)

기도저항

기도 내 공기흐름

기관지 평활근의 조절

기도와 이물질 제거

비강에서 종말세기관지까지 점액으로 덮여있다

이물질 제거

폐포 대식세포

폐포벽 존재, 아메바성 운동 단핵구

폐환기

흡식근

호식: 흡식근의 이완에 의한 수동적 호식 가능

흡식: 흡식근 수축 ➔ 흉강 확장 ➔ 폐내압 = 대기압 - 1mmHg ➔ 흡기

흉막공간내압(intrapleural pressure):

Transpulmonary Pressure

폐유순도(compliance)

표면활성물질(pulmonary sulfactant)

Pulmonary Surfactant

폐기능 검사

폐활량, 강제폐활량, 최대 호식 속도, 최대 자발적 환기량

폐용적

Lung Volume

폐환기량 = 호흡수(회수/min) x (일회호흡량 - 사강(Dead Space)) = 대략 4.2 L/min

폐순환

폐순환 (그림 14-22)

기관지순환(체순환)

폐순환계 혈액량

폐혈관 조절기전

폐혈류와 중력 (그림 14-24)

가스 교환

폐의 가스 교환

http://biology4isc.weebly.com/uploads/9/0/8/0/9080078/__105150644.jpg

용해기체의 농도 = 기체의 분압 x 기체의 용해계수 (헨리의 법칙)

폐포->모세혈관 산소이동

폐 가스확산능의 증가가 필요할 때(운동시):

Pulmonary Gas Exchange

혈액의 산소 운반

보어 효과(Bohr effect): O2Hb ∝ 1/[H+]

혈액의 이산화탄소 운반

CO2 운반 3가지 방법

할데인 효과(Haldane effect): O2Hb ∝ 1/[CO2]

호흡조절

호흡조절중추

호흡중추

위치: 연수와 교뇌의 망상체 부위

연수 호흡중추

호흡조정중추(pneumotaxic center)

체액성 호흡조절

CO2, O2, H+ 농도가 중요

말초화학감수기

중추화학감수기

기타 호흡조절

폐환기 종류

정상환기

Normoventilation

폐포 pCO2 = 40 mmHg

과다환기

Hyperventilation

폐포 pCO2 < 40 mmHg, 호흡성 알칼리증

환기저하

Hypoventilation

폐포 pCO2 > 40 mmHg, 호흡성 산증

정상호흡

Eupnea

빠른호흡

Tachypnea

호흡빈도가 정상보다 빠름

느린호흡

Bradypnea

호흡빈도가 정상보다 느림

무호흡

Apnea

호흡곤란

Dyspnea

당사자가 힘들다고 느끼는 호흡. 짧은 호흡

좌위호흡

Orthopnea

좌심방부전->폐모세혈관혈액 충만. 증상 심하면 누워서 호흡곤란

저산소증

분류:

  1. 저산소성 저산소증(Hypoxic hypoxia): 혈액에 도달하는 산소가 부족
    • 환기저하, 폐포의 산소확산능 감소, 선천선 심장중격결손 등
  2. 빈혈저산소증(Anemic hypoxia): 혈액의 산소 운반능 감소
    • 혈색소 감소, 일산화탄소혈색소, 메트헤모글로빈 등
  3. 울혈저산소증(Stagnant hypoxia): 조직으로의 혈류량 감소
    • 심박출량 감소나 혈관폐쇄 등 혈류의 문제
  4. 조직독성 저산소증(Histotoxic hypoxia): 말초세포의 손상으로 산소 이용능력 감소.
    • 시안화물중독 등

호흡기 질환

흡기문제(Restrictive disease)

폐가 부풀지 않는다(dead space 증가) -> 산소 흡입의 제한

호기문제(Obstructive disease)

폐가 부푼채로 수축하지 않는다 -> 이산화탄소 배출의 제한

가스교환(Ventilation disease) 문제

폐포 조직액 증가 -> 산소 확산 거리 증가, 이산화탄소가 폐포표면활성물질에 용해(배출안됨)

혈류(Perfusion) 문제

폐혈전증(Pulmonary embolus)

http://images.slideplayer.com/35/10465948/slides/slide_41.jpg

https://images.contentful.com/i3p3v7pv8l6k/XK4VAmaNa0gEIekskWIwy/cd34149a4f0607923d5cee05deb324b5/How_Obstructive_Lung_Diseases_Disrupt_Breathing.jpg


Class/Physiology/Respiration (2017-09-18 12:42:21에 gehoon가(이) 마지막으로 수정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