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acl +All:read #format wiki #language ko #pragma description 악안면 통각; = 악안면 통각(Maxillofacial Nociception) = <> == 치통(Tooth pulp pain) == === 치통 일반 === * 둔통, 맥동적인(throbbing) 통증, 욱신욱신한다고 표현됨 * 유발요인: 열자극, 산(acid), 공기노출 등 다양 ==== 치수감각신경 ==== * 순수하게 nociceptive neuron만 있고, 따라서 치아의 유일한 감각은 통각이라고 알려졌으나, * 최근 non-nociceptive Aβ fiber의 존재가 발견되어, 그 기능에 대해 연구중임 * Myelinated/Unmyelinated 신경 모두 존재하고, 직경은 주로 2~4 µm, 최대 7 µm 정도로 가늘다. * Odontoblastic process와 함께 상아세관까지 연장되어 존재하나 기능은 잘 모름 * synapse, tight junction, gap junction 구조 없음 * 삼차신경절(Trigeminal Ganglion)에 세포체를 두고, 중추단은 삼차신경감각핵(Trigeminal Nucleus)에서 시냅스 연결됨. * 통각은 [[WikiPedia:Trigeminal nerve nuclei|삼차신경감각핵]] 중 [[WikiPedia:Spinal trigeminal nucleus]]의 미측소핵(Pars Caudalis)에서 시냅스 함 * 그러나 [[WikiPedia:Trigeminal nerve nuclei|삼차신경감각핵]]의 다른 소핵에서도 일부 시냅스 하는 것 같음 * [[WikiPedia:Substance P]], [[WikiPedia:CGRP]] 함유 * [부록] 치수에 자율신경도 있다. * 부교감신경 (cholinergic) * 교감신경 (norepinephrine, [[WikiPedia:Vasoactive intestinal peptide]] 함유) === 상아질 통각 === * 법랑질 파절, 치아우식증, 마모에 의해 상아질 노출시 * 기계적 자극, 열자극, 화학적 자극에 의해 상아질 통각이 유발됨 [[doi:10.1177/0022034513501877|{{https://journals.sagepub.com/na101/home/literatum/publisher/sage/journals/content/jdrb/2013/jdrb_92_11/0022034513501877/20161120/images/large/10.1177_0022034513501877-fig1.jpeg||width=550}}]] ==== 신경존재설 ==== 상아세관(dentinal tubule)에 분지한 신경 말단에 의해서 통각이 시작된다는 가설 * 지지 근거: 전기 자극에 의해서 통각 유발 가능 * 취약점: * 상아질에 국소마취제를 도포하여도 통각 지속됨 * 질산은으로 신경을 변성시켜도 삼투압/냉각/전기자극 통각 지속됨 * 신경 분지가 가장 많은 치수-상아질 경계부위보다 상아질-법랑질 경계부위가 통각에 더 예민함. ==== 유체역학설 ==== 상아세관(dentinal tubule)의 조직액이 외부 자극에 의해서 이동하고, 이것이 상아세관 신경종말에 의해 통각으로 전달된다는 가설 * 지지 근거: * 상아질 표면이 건조해지거나, 열자극, 삼투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통각 설명 가능 * 노출된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막는 것만으로 통각이 크게 경감됨 * 취약점: * 실제 stretch sensor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무엇인지 모름 ==== 조상아세포 변환기전 ==== 상아모세포가 감각기로 작용한다는 가설 * 지지 근거: * 상아모세포가 치수의 최외곽을 구성함 * Skin keratinocyte도 감각기로서 작용하고 신경말단에 정보를 전달함. * 취약점: * 상아모세포에서 시냅스 구조가 관찰되지 않음. == 삼차신경감각핵(Trigeminal Nucleus) == {{http://what-when-how.com/wp-content/uploads/2012/04/tmp15F36_thumb.jpg||width=750}} === Trigeminothalamic tract or Trigeminal lemniscus === [[https://www.dartmouth.edu/~rswenson/NeuroSci/chapter_7B.html|{{https://www.dartmouth.edu/~rswenson/NeuroSci/figures/Figure_16_files/image002.jpg}}]] ==== 주감각핵: 촉각 ==== [[WikiPedia:Principal sensory nucleus of trigeminal nerve|Principal sensory nucleus]] (or chief sensory nucleus of V) * 얼굴 및 턱의 약한 촉각 정보가 여기서 시냅스 후, * 반대측 [[WikiPedia:anterior trigeminothalamic tract]]을 따라서, 반대측 [[WikiPedia:Thalamus|시상]]의 복후내측핵([[WikiPedia:Ventral posteromedial nucleus]]: VPM)으로 전달됨 * 일부 구강내 정보는 동측 [[WikiPedia:dorsal trigeminothalamic tract]]을 통해 동측 [[WikiPedia:Thalamus|시상]]의 복후내측핵([[WikiPedia:Ventral posteromedial nucleus|VPM]])으로 전달됨 * 편측 뇌손상시 반대측 얼굴 부위 감각이 모두 사라지지는 않는 이유 [[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.html|{{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2.gif}}]] {{https://www.learnmedicalneuroscience.nl/wp-content/uploads/2016/06/trigeminothalamic-pathway-facebook-580x500.jpg}} ==== 척수핵: 통각과 온도 ==== [[WikiPedia:Spinal trigeminal nucleus]] * 문측소핵(subnucleus oralis), 극간소핵(subnucleus interpolaris), 미측소핵(subnucleus caudalis)으로 나뉨 * 가장 아래쪽에 있는 미측소핵은 척수후각과 구조가 비슷하여 medullary dorsal horn(연수에 있는 척수후각)이라고 부름 * 얼굴 및 턱의 강한 촉각/통각/온도 정보가 여기서 시냅스 후, * 반대측 [[WikiPedia:anterior trigeminothalamic tract]]을 따라서 반대측 [[WikiPedia:Thalamus|시상]]의 복후내측핵([[WikiPedia:Ventral posteromedial nucleus|VPM]])으로 전달됨 [[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.html|{{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3.gif}}]] === 번외편: 운동핵과 중뇌핵 === ==== 운동핵: 운동신경 ==== [[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.html|{{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5.gif}}]] [[WikiPedia:Withdrawal reflex]] {{https://pocketdentistry.com/wp-content/uploads/285/F00002Xf02-07-9780323082204.jpg||width=600}} ==== 중뇌핵: 고유감각 ==== [[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.html|{{http://www.bioon.com/bioline/neurosci/course/face4.gif}}]] [[WikiPedia:Stretch reflex|Myotatic (Stretch) Reflex]] {{https://3dprintingindustry.com/wp-content/uploads/2015/06/3D-printed-derby-dog-prosthetic.gif||height=200}} {{https://pocketdentistry.com/wp-content/uploads/285/F00002Xf02-06ab-9780323082204.jpg||width=600}} <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