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acl +All:read #format wiki #language ko #pragma description 혈액 생리 요점정리; = 혈액 = <> == 혈액조성 == 혈액(% by volume): 혈장(55%) + 적혈구(45%) + 백혈구 + 혈소판 적혈구용적률(Hematocrit): 혈액 중 적혈구의 비율 (v/v) 남 45% | 여 42% 혈액생성: 적색골수(Red Bone Marrow: 흉골, 늑골, 사지장골) * Pluripotent Stem Cell ➔ RBC, WBC, Megakaryocytes(혈소판) * 림프구는 골수에서 유래 ➔ 림프절에서 성숙 === 혈장 === 유기물 (혈장단백질): Albumin, Globulin, Fibrinogen 등 * 크기가 큼 (모세혈관 벽을 통과하지 못 함) ➔ 교질삼투압 유지 * pH buffer * Albumin (제일 많다): 물질운반, 교질삼투압 * α, β Globulin: 물질운반, 혈액응고 * γ Globulin: 면역기능 * 섬유소원(Fibrinogen): 혈액응고 무기물 (이온): Na, K, Ca, 미량 원소들.. [[http://www.kyobobook.co.kr/product/detailViewKor.laf?barcode=9788957414453|(표7-3)]] * 수가 많다 (삼투압 유지): 145 Na^+^ + 103 Cl^-^ + 24 HCO,,3,,^-^ + 4 K^+^ ≒ 280 (mM) 가량 * Na^+^, K^+^, Ca^2+^: 막흥분성 기여 * HCO,,3,,^-^: pH buffer 물(H,,2,,O) === 적혈구 === 적혈구(erythrocyte, RBC): 5,000,000/mm^3^ * 탄산탈수소효소(Carbonic Anhydrase): CO,,2,, 운반 * Mitochondria 無: O,,2,, 소비 不可 * 해당효소(glycolytic enzyme) 有: glycolysis 가능 * Ribosome 無 (미성숙일 때는 有: reticulocyte ⬅︎ 진단 point) * 핵 無, 소기관 無: 수명 짧음 (120 日) * 죽은 RBC ➔ 비장,간에서 파괴 Vitamin * 철: Hemoglobin (50%) + Cytochrome (25%) + 간 (25%) 존재 * 결핍시 iron deficiency anemia * 엽산: Thymine 합성에 필요 * 결핍시 DNA 합성 / 세포분열에 문제 * RBC가 특히 취약 * Vitamin B,,12,,(Cobalamin): 엽산 작용에 필수 * 소장에 intrinsic factor 없으면 흡수 不可 ➔ 악성빈혈(pernicious anemia) ==== 적혈구 생성 (Erythropoiesis) ==== 적혈구형성인자(Erythropoietin): 신장,,(그리고 간),, 분비 * 신장에 O,,2,, 공급이 부족하면 분비 * Testosterone이 분비 촉진 * 유전자 치료에 이용 (신부전, chemotherapy 보조 등) 적혈구증가증(Polycythemia): * 높은 Hematocrit 수치 * 혈액 점도 증가 ➔ 심장 부하 증가 ==== 빈혈 ==== * 소적혈구증(Microcytosis): 철 결핍 * 정상적혈구증(Normocytosis): 혈액 상실 * 대적혈구증(Macrocytosis): Vitamin B,,12,, or 엽산 결핍 * Sickle-cell Disease: 유전 * 말라리아: 기생충 ==== 혈액형 ==== RBC 표면 Antigen(glycoprotein) vs. 혈장의 Antibody {{https://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thumb/3/32/ABO_blood_type.svg/2000px-ABO_blood_type.svg.png|alt 혈액형|width=500}} === 백혈구 === 5가지: 호중구, 호산구, 호염구, 단핵구, 림프구 * 호중구, 호산구, 호염구: 다형핵 과립백혈구(polymorphonuclear granulocytes) * 붉은색(eosin)염색: 호산구(eosinophil) * 푸른색(basic dye)염색: 호염구(basophil) * 둘 다에 염색 안 됨: 호중구(neutrophil) ⬅︎ 가장 많음 * 단핵구, 림프구: 단핵 무과립백혈구(mononuclear agranulocytes) * 단핵구(monocyte): 타원 핵. * 림프구(lymphocyte): 구형 핵. 백혈구 중 가장 작은 크기 === 혈소판 === 거대핵세포(Megakaryocytes)에서 떨어져 나온 세포 조각 * 간의 Thrombopoietin에 의해서 생성 촉진 * 1/3은 비장내에서 비축 ➔ 유사시 방출 * 고농도의 actin/myosin 함유 ➔ 지혈에 중요 == 혈액기능: Gas 운반 == === 산소 운반 === Hemoglobin * 2.8 x 10^8^ / RBC * 1 Hemoglobin = 2 x (α unit + heme) + 2 x (β unit + heme) * O,,2,, 운반 (전체 O,,2,, 운반량의 98.5%) * CO,,2,, 운반 * H^+^ 이온과 결합, pH 조절 * NO 결합 (NO = vasodilator) * O,,2,, affinity << CO affinity (일산화탄소 중독) * 대식세포(Macrophage): Hemoglobin ➔ Heme + Globin * Heme ➔ 빌리베르딘 + 철 * 빌리베르딘 ➔ 빌리루빈 ➔ 간 담즙 ➔ 배설 * 철 ➔ transferrin에 붙어 이동 ➔ 골수에서 재활용 보어 효과([[WikiPedia:Bohr effect]]): O,,2,,Hb ∝ 1/[H^+^] * 헤모글로빈의 O,,2,, affinity: low pH에서 감소 * 대사 부산물이 많은 곳(산성 조직)에서 O,,2,, 유리 === 이산화탄소 운반 === CO,,2,, 운반 [[https://academic.oup.com/bjaed/article-pdf/5/6/207/946674/mki050.pdf|3가지]] 방법 * 혈장(물)에 녹아서 (약 7%) * RBC::Carbonic Anhydrase: CO,,2,, + H,,2,,O ➔ H^+^ + HCO,,3,,^-^ (70%) * RBC::Hemoglobin + CO,,2,, ➔ [[WikiPedia:Carbaminohemoglobin]] ([[WikiPedia:Haldane effect]]) 할데인 효과([[WikiPedia:Haldane effect]]): O,,2,,Hb ∝ 1/[CO,,2,,] * 헤모글로빈의 CO,,2,, affinity: low pO,,2,,에서 증가 * pO,,2,,가 낮은 조직에서 CO,,2,,를 부착 ➔ pO,,2,,가 높은 폐에서 CO,,2,,유리 == 혈액기능: 지혈(Hemostasis) == 3단계: [[http://www.kyobobook.co.kr/product/detailViewKor.laf?barcode=9788957414453|(그림7-16)]] 1. 혈관수축: 찢어진 혈관이 수축하는 현상. 주변 주직의 paracrine 물질에 유발되는 듯 함 1. 혈소판 마개(Platelet plug) 형성 1. 혈액응고 === 혈소판 마개(Platelet plug) 형성 === 혈관손상 1. 혈관내피세포(endothelial cell)층 손상 ➔ Collagen fiber 노출 1. 노출된 collagen fiber + vWF (von Willebrand factor) ➔ 혈소판 부착 ➔ 혈소판 마개 형성 1. Collagen Fiber ➔ 혈소판 활성화 * ADP, Serotonin 등 분비 ➔ 다른 혈소판 부착 촉진 (혈소판 응집) * Thromboxane A,,2,, 합성 ➔ 혈소판 활성화 가속화 * 혈소판의 Actin/Myosin 작용 ➔ 혈소판 마개 압축/강화 * 혈관 수축 유발 ➔ 손상 부위 혈류 감소 / 혈관내 압력 감소 정상 혈관내피세포 1. Prostacyclin 분비: 혈소판 부착 억제 1. 산화질소(NO) 방출: 혈관 확장, 혈소판 부착/활성화 억제 === 혈액응고 === 내인성 경로: * [[WikiPedia:Factor XII]](Hageman factor)가 활성화 됐을 때 시작 * 7단계 과정 모두가 혈액내 물질에 의해 이루어짐 외인성 경로: * 조직으로 유출된 혈액이 [[WikiPedia:Tissue factor]]([[WikiPedia:Factor III]])를 활성화시키면 시작 * 4단계 과정 모두가 혈액내 물질에 의해 이루어짐 {{https://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b/b6/Coagulation_full.svg|혈액응고 경로|width=900}} === 지혈장애 === 응고인자 부족: 혈액응고장애 예: 혈우병 환자의 80%는 [[WikiPedia:Factor VIII]]이 부족 ([[WikiPedia:Hemophilia A]]) 혈소판 결핍: 미세한 모세혈관 출혈 예: 혈소판감소자색반병(thrombocytopenia purpura) 간 질환: 1. 혈액응고 인자 합성 장애 ➔ 지혈 시간 증가 1. 담즙산염 합성 감소 ➔ Vitamin K 흡수 장애 * Vit.K: 혈액응고 인자 합성에 필수적인 비타민 === 항응고 기전 === 혈전(thrombus) + 색전(embolus) = 혈전색전증(thromboembolism)의 원인 1. 죽상경화증(atherosclerosis) ➔ 거칠어진 혈관내벽 ➔ collagen 노출 가능성 1. 응고/항응고 기전 사이 불균형 1. 느린 혈류 1. 광범위한 외상: [[WikiPedia:Tissue factor]]의 혈관 내 유입 1. 혈액 응고를 유발하는 세균 독소에 노출시 항응고기전 1. [[WikiPedia: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]](TFPI): 인자 VIIa 억제 ➔ 외인성 경로 억제 1. [[WikiPedia:Thrombin]] + [[WikiPedia:Thrombomodulin]] + [[WikiPedia:Protein C]]: 인자 VIIIa, 인자 Va 억제 ➔ 내인성 경로 억제 1. [[WikiPedia:Antithrombin]] Thrombin의 기능 * 응고촉진 1. Fibrinogen ➔ Fibrin 촉매 1. 응고인자 XI, VIII, V, XIII 활성화 1. 혈소판 응집 증대 * 응고억제 1. [[WikiPedia:Protein C]] 활성화 항응고약물 * [[WikiPedia:Aspirin]]: [[WikiPedia:Cyclooxygenase]]억제 * 낮은 농도에서 thromboxane A,,2,,의 형성 억제 ➔ 혈소판 응집 감소 * [[WikiPedia:Heparin]]: [[WikiPedia:Antithrombin]] 활성화 ➔ Thrombin 억제 * 섬유소원 차단제 * 경구 항응고제 (oral anticoagulants): 응고인자, Vit.K 등의 작용 억제 === 섬유소 용해 기전 === [[WikiPedia:Plasmin]] * 상처가 치유된 후 필요 없어진 피떡을 용해 * 간에서 만들어진 전구체 plasminogen이 활성화 인자에 의해 [[WikiPedia:Plasmin]]으로 전환됨 * [[WikiPedia:Factor XII]](Hageman factor)는 plasminogen 활성화 인자로도 기능함 * 원인미상 소량의 피떡은 [[WikiPedia:Tissue plasminogen activator]](t-PA)에 의해 활성화된 [[WikiPedia:Plasmin]]이 제거가능 * 심근경색증 발병 후 수 시간 이내에 t-PA 정맥 투여시 심근손상과 사망률 감소 * 뇌졸중 후 뇌손상 감소 목적으로도 사용 ----- <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