혈액

혈액조성

혈액(% by volume):

적혈구용적률(Hematocrit): 혈액 중 적혈구의 비율 (v/v)

혈액생성: 적색골수(Red Bone Marrow: 흉골, 늑골, 사지장골)

혈장

유기물 (혈장단백질): Albumin, Globulin, Fibrinogen 등

무기물 (이온): Na, K, Ca, 미량 원소들.. (표7-3)

물(H2O)

적혈구

적혈구(erythrocyte, RBC): 5,000,000/mm3

Vitamin

적혈구 생성 (Erythropoiesis)

적혈구형성인자(Erythropoietin): 신장(그리고 간) 분비

적혈구증가증(Polycythemia):

빈혈

혈액형

RBC 표면 Antigen(glycoprotein) vs. 혈장의 Antibody

alt 혈액형

백혈구

5가지: 호중구, 호산구, 호염구, 단핵구, 림프구

혈소판

거대핵세포(Megakaryocytes)에서 떨어져 나온 세포 조각

혈액기능: Gas 운반

산소 운반

Hemoglobin

보어 효과(Bohr effect): O2Hb ∝ 1/[H+]

이산화탄소 운반

CO2 운반 3가지 방법

할데인 효과(Haldane effect): O2Hb ∝ 1/[CO2]

혈액기능: 지혈(Hemostasis)

3단계: (그림7-16)

  1. 혈관수축: 찢어진 혈관이 수축하는 현상. 주변 주직의 paracrine 물질에 유발되는 듯 함
  2. 혈소판 마개(Platelet plug) 형성
  3. 혈액응고

혈소판 마개(Platelet plug) 형성

혈관손상

  1. 혈관내피세포(endothelial cell)층 손상 ➔ Collagen fiber 노출
  2. 노출된 collagen fiber + vWF (von Willebrand factor) ➔ 혈소판 부착 ➔ 혈소판 마개 형성
  3. Collagen Fiber ➔ 혈소판 활성화
    • ADP, Serotonin 등 분비 ➔ 다른 혈소판 부착 촉진 (혈소판 응집)
    • Thromboxane A2 합성 ➔ 혈소판 활성화 가속화

    • 혈소판의 Actin/Myosin 작용 ➔ 혈소판 마개 압축/강화
    • 혈관 수축 유발 ➔ 손상 부위 혈류 감소 / 혈관내 압력 감소

정상 혈관내피세포

  1. Prostacyclin 분비: 혈소판 부착 억제
  2. 산화질소(NO) 방출: 혈관 확장, 혈소판 부착/활성화 억제

혈액응고

내인성 경로:

외인성 경로:

혈액응고 경로

지혈장애

응고인자 부족: 혈액응고장애

혈소판 결핍: 미세한 모세혈관 출혈

간 질환:

  1. 혈액응고 인자 합성 장애 ➔ 지혈 시간 증가
  2. 담즙산염 합성 감소 ➔ Vitamin K 흡수 장애
    • Vit.K: 혈액응고 인자 합성에 필수적인 비타민

항응고 기전

혈전(thrombus) + 색전(embolus) = 혈전색전증(thromboembolism)의 원인

  1. 죽상경화증(atherosclerosis) ➔ 거칠어진 혈관내벽 ➔ collagen 노출 가능성
  2. 응고/항응고 기전 사이 불균형
  3. 느린 혈류
  4. 광범위한 외상: Tissue factor의 혈관 내 유입

  5. 혈액 응고를 유발하는 세균 독소에 노출시

항응고기전

  1.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(TFPI): 인자 VIIa 억제 ➔ 외인성 경로 억제

  2. Thrombin + Thrombomodulin + Protein C: 인자 VIIIa, 인자 Va 억제 ➔ 내인성 경로 억제

  3. Antithrombin

Thrombin의 기능

항응고약물

섬유소 용해 기전

Plasmin


Class/Physiology/Blood (2017-09-12 10:03:31에 gehoon가(이) 마지막으로 수정)